달라진 정부, 바뀐 정책의 중심에는 ‘공급’이 있다 달라진 정부, 바뀐 정책의 중심에는 ‘공급’이 있다
2025년 대한민국의 부동산은 전환점에 서 있습니다.
새롭게 출범한 이재명 정부는 부동산 정책 기조를 완전히 바꾸고 있습니다.
그간 반복되던 수요 억제 → 세금 중심 → 대출 규제라는 3박자 틀을 벗고, 공급 확대와 실수요자 중심의 정책 기조를 내세우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.
과연 이재명 정부의 정책 방향은 어떤 변화와 흐름을 만들고 있으며, 시장은 이 기조 변화에 대해 어떤 기대를 하고 있을까요?
그리고 정책 수혜가 집중될 지역과 단지는 어디일까요?
이번 뉴스레터에서는 이러한 질문에 대해 구체적인 분석을 담아보았습니다. |
|
|
🔍 핵심 기조 변화: 수요 억제 → 공급 확대
이재명 정부는 출범 초기부터 분명한 기조를 밝혔습니다.
“세금으로 집값 잡는 시대는 끝났다. 공급으로 해결해야 한다.”
이 말 한마디로 정부의 철학이 요약됩니다.
핵심은 규제가 아닌 유연한 제도 개편을 통해 민간과 공공의 주택 공급을 동시에 끌어올리는 방향입니다. |
|
|
🏗 주요 정책 내용 정리
① 도심 주택 공급 정상화
-
재개발·재건축 규제 완화
용적률·건폐율 상향, 인허가 간소화, 민간참여 확대
-
1기 신도시 재정비 본격 추진
분당·일산·산본·중동·평촌 등 재정비 및 고밀도 개발 계획
-
도심 역세권 유휴부지 활용
공공주택과 민간복합 개발 모두 추진
-
신도시 개발 병행
4기 신도시 신규 지정 가능성, GTX 노선과 연계
② 금융 규제 완화
③ 교통 + 주택 연계 개발
|
|
|
📍 지역별 수혜 예상 흐름 분석
📌 서울 – "재개발·재건축의 귀환"
✅ 주요 수혜 권역
-
강남 3구 (특히 대치·압구정·개포)
: 초과이익 논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비사업 속도 기대
-
노원·도봉·강북 등 서울 동북권
: 광운대 역세권 개발, 상계·중계 재건축 가능성
-
양천·강서 지역
: 신월·목동 등 노후 단지 대상 정비 속도 개선 가능
✅ 대표 단지
- 잠실5단지, 대치 은마, 개포주공 시리즈
- 상계주공, 중계그린, 신월시영 등
📌 수도권 – "GTX 노선 + 신도시 = 최대 수혜"
✅ 주요 수혜 권역
- GTX-A: 동탄, 화성, 수서, 삼성, 양재, 파주 운정
- GTX-B: 남양주, 마석, 별내, 청량리, 인천 송도
- GTX-C: 의정부, 창동, 수원, 금정, 양주
✅ 대표 수혜 단지
- 동탄: 동탄역 반도유보라, 동탄 푸르지오
- 남양주 별내: 별내푸르지오, 진접자이
- 수원·금곡: 광교중앙 더샵, 금곡아이파크
✅ 신도시 예정지
- 고양 창릉, 부천 대장, 인천 계양 (3기)
- 김포·검단·양주·평택 (GTX 연계 가능)
📌 지방 광역시 – "균형 발전 전략으로 주목"
✅ 부산
- 북항재개발, 서면권 재정비 기대
- 광역 교통망(부산 엑스포, 광역철도 등)과 연계
✅ 대구
- 동대구 역세권 개발, 수성구 범어동 재개발
- 혁신도시+대구시청 이전지 인근 개발
✅ 광주
✅ 대전
- 도심 내 공공재개발, 유성구 중심 신규택지 조성 가능성
|
|
|
📊 시장 반응 요약:
“긍정적이나, 결국 관건은 실행력”
- 공급 정상화에 따른 중장기 가격 안정성 기대감 존재.
- GTX 착공 지연, 재초환·분상제 미조정 시 시장 반감 우려.
- 지역 균형 발전에 대한 정책은 있으나, 현실적으로 가능할지에 대한 의문은 있음.
- 결국 시장은 “실행력 있는 정책”을 기다리고 있다.
|
|
|
🤖 부자친구들 Pick!
꿀 부동산 뉴스를 정리했습니다.
|
|
부자친구들business@up-value.co.kr서울시 강남구 영동대로 76길 12, 5층 070-8080-4540수신거부 Unsubscribe |
|
|
|
|